~ 2024학년도 입학생까지의 철학과 졸업요건(내규)
다음의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만 마지막 학기에 논문제출자격이 주어진다.
철학전공자
- 심화교양(전 핵심교양) 필수 : 철학산책(과목명 변경-철학의 이해)
- 지정교양 필수 : 철학과 지교 3개를 포함하여 문과대학 지교 5개를 수강하여야 졸업 가능
철학과 철학전공자 졸업자격요건 학년·학기 과목명 1-1 철학의 문제들 1-1 동양사상과 현실문제 1-2 논리학 - 전공선택 필수
철학과 철학전공자 졸업자격요건 학년·학기 과목명 비고 1-1 서양철학고전읽기 필수 1-2 동양철학고전읽기 1-2 서양고중세철학 (前서양고대철학) 1-1 학술답사Ⅰ 17학번 이후 전공자 3개 중 2개 이상 이수
(17학번 포함)2-1 학술답사Ⅱ 3-1 학술답사Ⅲ 2-1 중국철학의 이해 7개 중 4개 이상 선택이수 2-1 윤리학 2-1 서양근세철학 2-1 인식론 2-2 형이상학 2-2 한국철학의 이해 2-2 서양현대철학 (前현대철학) - 인텁십 의무 이수제: 17학번 ~ 20학번 철학 원전공자 해당(편입, 다부전공생 제외)
21학번부터는 현장실습형 과목 이수 또는 WE 人역량인증 수료를 원칙으로 함 - 학칙시행세칙 제30조22-1-2 학칙시행세칙 Ⅰ 제 30 조의2 (인턴십 의무이수)
② (이수요건)학칙 제13조의4의 현장실습형 과목 이수 또는 WE人역량인증 수료를 원칙으로 하되, KU-GTEP 활동을 수료하거나, 2017~2020학년도에 신입학 한 대상자가 각 학과(부)/전공에서 별도로 정한 이수요건을 충족할 경우 인턴십 의무이수 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인정한다.
학년·학기 | 교과 과목 | 비고 |
---|---|---|
1-1 | 학술답사Ⅰ | 교과영역에서 1개 항목, 비교과 영역에서 1개 항목 총 2개 항목 선택이수 |
2-1 | 학술답사Ⅱ | |
3-1 | 학술답사Ⅲ | |
- | 기업 실무연수 이수(3학점 이상) 방학 중 기업 실무연수에 한해 학점인정 | |
학년-학기 | 비교과 과목 | |
- | 철학과 학술제 프로메테우스 제전 1회 이상 논문 참여 | |
- | 취업 동문과 함께하는 취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 1학기 참석 | |
- | 교과 영역 이외 철학과 정기학술답사 1회 이상 참여 |
편입생
학년·학기 | 과목명 | 비고 |
---|---|---|
1-2 | 서양고중세철학(前서양고대철학) | 필수 |
2-1 | 중국철학의 이해 | |
2-1 | 서양근세철학 | |
2-2 | 한국철학의 이해 | |
1-1 | 학술답사Ⅰ | 3개 중 1개 이상 이수 |
2-1 | 학술답사Ⅱ | |
3-1 | 학술답사Ⅲ | |
2-1 | 윤리학 | 5개 중 3개 이상 선택이수 |
2-2 | 서양현대철학 (前현대철학) | |
2-1 | 인식론 | |
2-2 | 형이상학 | |
3-2 | 중국유학 (前유가철학) |
다전공자
- 심화교양 필수 : 철학산책(과목명 변경-철학의 이해)
- 전공선택 필수 : 다음 7개 과목 중 적어도 4과목 이상
다전공자 졸업자격요건 학년-학기 과목명 비고 1-2 서양고중세철학 (前서양고대철학) 7개 중 4개 이상 선택이수 2-1 중국철학의 이해 2-1 윤리학 2-1 인식론 2-1 서양근세철학 2-2 한국철학의 이해 2-2 형이상학
부전공자: 전공 24학점 이수 이외 필요조건 없음
‘서양고대철학’과 ‘서양고중세철학’ 중 하나만 들으시면 됩니다. 현재 ‘서양고대철학’은 없어졌고 ‘서양고중세철학’이라는 이름으로 개편되었습니다.
‘서양고대철학’과 ‘서양고중세철학’ 둘 다 수강가능하며 중복처리가 되지 않습니다(학수번호가 다르기 때문에 중복과목처리가 되지 않습니다).
심화교양 ‘철학의이해’와 ‘철학산책’ 중 하나만 들으시면 됩니다. 현재 ‘철학의이해’는 없어졌고 ‘철학산책’이라는 이름으로 개편되었습니다.
전공과목을 6학점 이상 수강해야 성적장학생의 대상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