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차전지재활용기술특론 SPECIAL LECTURE ON SECONDARY BATTERY RECYCLING
- 전기자동차 및 IT산업에서 사용 후 폐기되는 리튬이차전지의 재활용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 폐전지로부터 희귀원소 회수 방법에 대하여 소개한다. We will find out how to recycl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discarded after use in electric vehicles and IT industries, and introduce a method to recover rare elements from waste batteries
-
- 3D프린팅소재 3D PRINTING MATERIALS
- 3D프린팅 공정에 적용 가능한 소재의 요구 물성에 대해 학습하고, 3D프린팅을 통한 최종 제품의 우수한 품질 구현을 위한 소재 측면의 영향인자를 도출한다. In this course, the required properties of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to the 3D printing process and their effects on the quality of the final products are studied.
-
- 4차산업혁명과ICT융합섬유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CT CONVERGENCE IN TEXTILES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활용하는 다양한 ICT융합 섬유 관련 기술발전과 시장 동향 정보를 습득하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토론한다. This course provides the information on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market trends related to various ICT convergence textiles utilizing technologi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acquired,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are discussed.
-
- ESG개론 PRINCIPLES AND TRENDS OF ESG
- 최근 기업의 경영 활동에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환경/사회/지배구조를 통합하는 ESG가 매우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ESG의 기본 원칙과 국제적인 최신 동향을 고찰한다 Recently,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the integration of ESG (environment/society/governance) into the management activities of an organization is becoming one of the most importane gloval issues. The principles and global trends of ESG will be discussed in detail.O22
-
- ICT기반섬유패션제품설계및공정 ICT BASED TEXTILE FASHION PRODUCT DESING AND PROCESS
- ICT를 활용한 섬유패션제품의 설계 및 생산 공정에 대해 학습한다. In the course, design and process of ICT-based textile fashion products for apparel industry are studied.
-
- ICT-섬유패션유통융합및서비스 ICT-TEXTILE FASHION-DISTRIBUTION CONVERGENCE AND SERVICE
- ICT를 활용한 섬유패션유통 융합 기술 및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학습한다. In the course, technical converngence of textile fashion, distribution and service for apparal industry are studied.
-
- ICT융합섬유개론 INTRODUCTION TO ICT CONVERGENCE IN TEXTILES
- 센서, 액츄에이터 등의 e-Textile 기반 디바이스에 관한 기본 지식을 학습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the basic knowledge about e-Textile-based devices such as sensors and actuators.
-
- ICT-패션융합공학특론 ICT-FASHION CONVERGENCE ENGINEERING
- ICT와 패션의 융합 기술을 활용한 Mass Customization 생산 및 유통 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In the course, digital convergence in ICT and fashion are studied.
-
- IT섬유패션소재융합시스템 CONVERGENCE IN IT AND TEXTILE MATERIALS
- IT-유기재료 융복합 제품과 제조기술 등을 학습한다. 특히, Wearable Computer, Smart Textile & Clothing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In the course, products and processing technologies of digital convergence in IT and organic and nano materials are studied. Especially, wearable computer, smart textile and clothing products are introduced.
-
- 계면화학특론 ADVANCED SURFACE CHEMISTRY
- 계면과 콜로이드 화학, 표면장력과 액체의 계면과학, 계면활성제의 성질, 용액의 미셀특성, 박막응용, 에멀션의 전기이중층 특성에 대해 연구한다. This course offers surface and colloid chemistry, surface tension and interfacial tension of liquids, properties of surfactants, micelle systems of emulsions, thin film approach and dielectric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emulsions.
-
- 계측공학 및 분석 MEASUREMENT ENGINEERING AND TEST
- 계측공학의 원리와 이론을 학습하고 재료의 물리적 특성 평가방법의 적용방안을 통계학을 기초로 적용한다. Studying the principles and theories of metrology and apply methods for evaluat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materials based on statistics.
-
- 고급고분자화학 POLYMER CHEMISTRY FOR ADVANCED MATERIALS
- 단계중합, 연쇄중합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통하여 고분자의 중합에 대한 이해를 증진한다. To provide the participants with an in-depth knowledge of three of the most timely and extensively researched areas of polymer chemistry. All the topics aim at producing novel, functional and advanced polymer materials which can normally not be produced by other means.
-
- 고급재료분석 ADVANCED MATERIALS ANALYSIS
- 현대 과학의 에너지 재료들의 대부분은 고체이며, 다양한 재료의 융합체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다양한 나노구조를 비롯하여, 제조된 고체 재료의 특성 분석을 어떻게 접근하여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탐구한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표면 분석법을 중심으로, 다양한 재료의 분석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Modern scientific topics are mostly handling solid materials which are products of many different precursor chemicals. This course handles how we can approach the characterization of as-synthesized materials. Various analytical methods will be handled and studied.
-
- 고분자나노복합체 POLYMER NANOCOMPOSITES
- 본 과목은 나노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복합체의 특성, 제조, 구조분석, fabrication, 물성 및 응용을 다룬다. This subject covers characterization, preparation, structure, fabric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polymers and their nanocomposites.
-
- 고분자물리특론 ADVANCED POLYMER PHYSICS
- 본 과목은 고분자의 고차구조, 결정구조 및 결정화를 비롯하여 고분자의 역학적, 전기적, 열적 및 광학적 특성을 다룬다. This subject covers superstructure of polymers, crystal structure, crystallization, and mechanical, electrical, thermal and optical properties of polymers.
-
- 고분자물리화학 POLYMER PHYSICAL CHEMISTRY
- 본 과목에서는 고분자의 중요한 기초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고분자물리화학에 대해서 강의한다. 다음과 같은 주제가 이 강의에 포함된다. 1) 고분자 분석; 2) 고체상태의 고분자 물리; 3) 용액에서의 고분자 거동; 4) 고분자의 표면 및 계면; 5) 최근 고분자 연구주제. In this course, we provide lectures on polymer physical chemistry to understand important fundamental concepts of polymers. The following topics are covered in this course: 1) Polymer analysis; 2) Polymer physics in the solid state; 3) Polymer behavior in solutions; 4) Polymer surfaces and interfaces; 5) Recent research topics in polymers.
-
- 고분자물성분석 ANALYSIS OF POLYMER PROPERTIES
- 본 과목은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기재료에 대한 역학적, 전기적, 열적 및 광학적 물성의 측정과 분석을 다룬다. This subject covers measurements and analysis of mechanical, electrical, thermal, and optical properties for organic materials including polymers.
-
- 고분자역학 POLYMER MECHANICS
- 기초 역학을 바탕으로 고분자 물리의 힘과 변형의 관계, 점탄성 거동에 관하여 학습한다. The basic mechanics extends toward to the mechanical and viscoelastic behaviors of polymeric materials with related to processes.
-
- 고분자유변학 POLYMER RHEOLOGY
- 유변학의 이론에 대한 학습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분자의 구조와 유변학적 거동의 관계를 학습한다. The course provides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rheology. Based on the fundamental knowledge, the relation between the structure and rheological behaviors of polymer is studied.
-
- 고분자합성특론 POLYMER SYNTHESIS
- 본 과목은 대표적인 고분자 합성 방법인 부가중합, 축합중합 및 금속촉매 중합법을 소개하고 각각의 중합 방법에서 고분자 물성을 조절할 수 있는 인자들에 대해 소개한다. This class introduces several polymerization methods, such as addition polymerization, condensation polymerization and metal catalyzed polymerization, and the parameters determining polymer properties are covered.
-
- 고분자혼성체 POLYMERIC HYBRIDS
- 고분자의 혼합물, 공중합체, 무기 및 금속 소재와의 합금에 대해 계면현상과 열역학적 배경, 물리적 성질에 대해 학습한다. Multidisciplinary research groupings incorporating physical, organic, materials and inorganic chemistry.
-
- 고분자화학특론 ADVANCED POLYMER CHEMISTRY
- 다양한 고분자의 합성 및 개질을 통한 응용에 관한 최신 기술에 대해 학습하며 유기고분자의 구조, 고분자반응기구, 고분자 기능화 및 개질 등 고분자재료 개발에 필요한 이론 및 원리 등을 포함한다. The advanced methods in the synthesis of polymers are addressed and discussed, including the various types of polymerizations and their applications toward both common and new promising polymer products.
-
- 광전자공학 OPTOELECTRONICS
- 광전자공학은 전자공학과 광학을 하나로 합친 학문이다. 조명으로 밖에 쓰이지 않은 빛을 연산이나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광학은 물리학에서 전자기학과는 완전히 별개의 학문으로 발전하였으나 20세기 들어 전자와 광자와의 관계가 분명해지면서 매우 밀접한 관계까 되었다. 광전자 공학에서는 주로 광전지, 포토트랜지스터,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광학 소자를 다루고 있다. Optoelectronics consists of optics and electronics, in which light is intended to be used for operations, optical communications. In the begining of the 20th century the relationship between electrons ad phorons were colsely related. Optoelectronics mainly deal with photovoltaic devices, phototransistor, laser, and LED.
-
- 광전자이동특론 PHOTOINDUCED ELECTRON TRANSFER
- 광전자이동은 광화학의 한 분야로서 광여기상태에서 산화제 혹은 환원제로서 작용하는 분자의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분야이다. 여기분자는 전자공여성 혹은 전자수용성의 성질을 띠게 되는데 바닥상태의 분자와의 전자이동반응을 일으키는 광증감제로서 작용하게 된다. 광전자이동반응은 식물의 광합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광전자이동반응을 일으키는 분자시스템의 설계, 합성, 그리고 응용기술에 걸친 광범위한 분야를 다룬다. Photoinduced eletron transfer is the one of research area in photochemistry, in which photoexcited state of the molecules induce charge shift toward neighboring eletron-accepting molecules. In this course, we focus on the design and synthesis of the molecular systems occurring photoinduced electron transfer, and talk about its applications over wide ranges.
-
- 국제환경규제대응론 COMPLIANCE WITH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ULATIONS
- 제품과 관련된 국제환경규제가 우리나라의 산업에 직접적이고,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중립조정기구 등과 같은 국제 환경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 한다 The impact of recent product related environmental regulations is directly associated with our industries. It is essential to efficiently respond to the produst-related regulation such as CBAM(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Discussions will be focused to find effective solutions to counteract with the regulations
-
- 기기분석특론 ADVANCED INSTRUMENTAL ANALYSIS
- 이 과목은 물질의 조성과 구조에 관한 정성 및 정량적 정보를 얻는 장치에 대해 배우고, 화학, 생화학, 생명과학 및 환경과학의 중요한 분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들 기기와 응용에 관하여 연구한다. This course offers tools for obta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about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matter. chemistry, biochemistry, the life sciences, and environmental tools and their applications to solve important analytical problems in these fields.
-
- 기능성고분자 FUNCTIONAL POLYMER
-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고분자 소재의 합성과 구조적특성-물성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학습한다. Polymers with special functional features will be studied in this subject. Especially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 in special polymers will be discussed.
-
- 기능성고분자설계 DESIGN OF FUNCTIONAL POLYMERS
- 본 과목은 중합된 고분자와 선택된 단량체와의 물성 상관도를 확인하고, 산업체에서 요구되는 기능성고분자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This class covers property-correlation between synthesized polymers and applied monomers, trying to cultivate polymer design strategy to satisfy the demands from industry.
-
- 기능성나노소재 FUNCTIONAL NANO MATERIALS
- 본 과목은 전기적/광학적 응용을 위한 다양한 기능성 나노소재 및 나노소재 합성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This class covers functional nano materials for electrical/optical applications, including methodologies to obtain well defined nano materials.
-
- 기능성섬유소재공학 ADVANCED FIBER MATERIALS TECHNOLOGY
- 기능성섬유소재의 제조공정과 기능성발현 원리에 관하여 학습함으로써 고부가가치의 기능성섬유소재를 설계 및 제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Fundamental fiber processing and the principles of advanced fiber materials are addressed and discussed, including the advanced technologies and design of new high-value-added fiber materials.
-
- 기능성유기재료 FUNCTIONAL ORGANIC MATERIALS
- 본 과목은 광학적 혹은 전기적 특성 구현을 위한 유기/고분자 재료의 화학적/물리적 구조연관성을 다룬다. This class cov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emical/physical structures of organic materials and their optical/electrical properties.
-
- 나노바이오소재연구 TOPICS IN NANO-BIO MATERIALS
- 최신 나노 바이오 소재에 대한 연구를 세미나를 통하여 학습한다. The current issues in nano-bio material are provided and discussed.
-
- 나노재료공정 NANO-MATERIALS PROCESSING
- 다양한 나노재료들 (자기조립단분자막, 블록공중합체, 나노콜로이드)의 합성 및 이러한 재료들을 이용하여 1차원, 2차원, 3차원 나노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학습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synthesis of nano-materials (i.e., self-assembled monolayers, block copolymers, nanocolloids) and the methods to fabricate 1D, 2D, and 3D nano-structures using these nano-materials.
-
- 나노재료특론 SPECIAL TOPICS ON NANO MATERIALS
- 현대 재료과학의 많은 부분은 나노재료의 합성과 그 합성된 재료의 응용이라고 할 수 있다. 나노재료의 합성 메카니즘을 분류하고, 제조 단계에서 응용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탐구한다. 나노재료는 나노입자, 나노로드, 나노와이어 등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나노구조체 중심으로 접근하며, 만들어지는 기본 원리에 대해 탐구한다. The major part of modern sciences is the synthesis of nano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This course handles how to synthesize nano materials and application processes such as nano particles, nano rods, nano wires etc.
-
- 녹색화학특론 GREEN CHEMISTRY
- 녹색화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친환경 물질의 제조공정 및 응용기술, 녹색화학이 미치는 사회적, 환경적, 산업적 영향 등을 학습한다..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green chemistry, lear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application technology of eco-friendly materials, and the social,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impact of green chemistry.
-
- 디스플레이공학 DISPLAY ENGINEERING
- LCD, QLED, OLED의 원리, 설계, 공정에 대해서 강의하고, 각 기술의 현황, 장단점 및 차세대디스플레이에 대해서 소개한다. Lectures are given on the principles, design, and processes of LCD, QLED, and OLED technologies, and an introduction is provided on the current status,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next-generation displays for each technology.
-
- 디스플레이재료공학 DISPLAY MATERIALS
- 화학 및 재료공학 등 물질에 대한 학문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재료 관련 기술 및 공정과 더불어 관련 산업계의 기술적 발전 동향을 학습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display materials and processing technologies of various display devices. Topics include specific applications and related design aspects of the materials for electronic display.
-
- 무기재료공학특론 SPECIAL LECTURE ON INORGANIC MATERIALS ENGINEERING
- 비금속 무기재료에 대한 정의, 종류, 특징 및 활용분야에 대하여 이해하고, 주요 소재들에 대한 제조공정을 소개한다. Understand the definition, typ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fields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s, and introduce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major materials
-
- 미래에너지특론 SPECIAL TOPIC FOR FUTURE ENERGY
- 에너지 변환/저장 및 수요관리 분야에 필요한 고급이론과 실용기술을 학습하며 연구 개발 역량을 육성한다. It learns advanced theories and practical technologies necessary for energy conversion/storage and demand management and promotes R&D capabilities
-
- 바이오소재특론 ADVANCED BIO-MATERIAL
- 본 과목에서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응용되는 바이오매스 기반의 고분자 소재의 제조, 특성, 응용, 고기능화에 대하여 학습한다. In the course, the processes, characteristics, structures and applications of various bio-base materials focusing on bio-polymers are studied.
-
- 반도체공정 SEMICONDUCTOR PROCESS
- 기본적인 VLSI 공정기술 즉, 단결정 성장, epitaxy, 산화, 도핑, 이온 주입, 박막 증착, lithography, 식각, 반도체 공정 integration(Bipolar, MOS 구조 소자 제작), 패키징 및 접속 공정 등을 다룬다. The specified semiconductor process is considered as specified unit. By use of the concepts which belong to the chemical engineering unit operations to interpret the analysis / introduction in semiconductor industry and future developing trending. (Also including the theories of VLSI devices) The students, who have studied professional chemical engineering courses for many years, can acquire completed and integrated viewpoints in semiconductor process. (Including processes; apparatuses and theor
-
- 반도체물리및공정 SEMICONDUCTOR PHYSICS AND PROCESSING
- 본 과목에서는 반도체 물리의 기본이 되는 고체의 결정구조, 양자역학, 고체 양자이론에서부터 시작해서 반도체내의 캐리어 전송현상 등과 같은 반도체 이론에 대해서 강의한다. 나아가 반도체를 이용한 소자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또한 반도체 재료의 공정에 대해서도 강의한다. This course covers the basic principles of semiconductor physics, starting from crystal structure of solid, quantum mechanics, solid quantum theory, and continuing to carrier transport characteristics in semiconductor. In addition, semiconductor devices will be introduced. Finally, semiconductor materials processing will also be covered in this course.
-
- 상평형특론 PHASE EQUILIBRIUM OF INORGANIC SYSTEMS
- 무기재료 평형상태도의 작성과 열역학적 고찰 및 응용, 무기재료에 있어서 비평형의 중요성 등에 대하여 익힌다. To provide students with an understanding of both fundamental and applied practices in unary, binary, and ternary phase equilibria of inorganic systems.
-
- 색소유기화학 ORGANIC CHEMISTRY IN COLOR
- 유기 염료 및 안료의 합성, 입체화학, 반응기구 및 물성에 관한 이해와 응용 원리에 관하여 학습한다. This organic chemistry course focuses on the advanced principles of organic stereochemistry, organic reaction mechanisms, and methods used for the synthesis of organic dyes and pigments.
-
- 색채물리학 COLOR PHYSICS
- 색상을 가지는 물체의 광학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 이론과 더불어 이를 객관적으로 규정하고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물리적 표현방식에 관하여 학습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fundamental theory of optical properties of colored materials, human color vision, methods of specifying color, and the related advanced color physics such as color space, color order systems, color difference and color consistency.
-
- 섬유집합체공학특론 ADVANCED TEXTILE ASSEMBLY ENGINEERING
- 유기나노 집합체 제품을 만드는 최신 기술과 제품의 성능 특성에 대해 학습한다. In the course, advanced technologies and functions for textile products are studied.
-
- 섬유패션표준공학 STANDARD ENGINEERING FOR TEXTILES AND APPAREL
-
섬유패션산업에 필요한 특허, 국제표준 등 현황 및 분석, 생성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In the cours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cluding patents, international standards for textiles and apparel industry are studied.
-
- 섬유형전자소자공학 FIBER ELECTRONICS
- 트랜지스터, 발광다이오드, 태양전지와 같은 섬유형 전자소자의 개념 및 작동원리에 대해서 학습한다. This course covers the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fiber electronics. In addition, fabrication methods and operating principles for the flexible devices will be introduced. Especially, physical properties of organic semiconductors and graphene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in devices will also be introduced.
-
- 스마트고분자설계 ADVANCED SMART POLYMER DESIGN
- 열, 전기, 화학물질, 광 등의 자극에 응답할 수 있는 지능형 고분자의 설계, 특성 및 응용을 다룬다. This subject covers design,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smart polymers which can respond to stimuli such as heat, electricity, chemicals, and light.
-
- 스마트고분자특론 ADVANCED SMART POLYMER
- 본 과목은 열, 전기, 화학물질, 광 등의 자극에 응답할 수 있는 지능형 고분자의 특성과 응용을 다룬다. This subject covers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smart polymers which can respond to stimuli such as heat, electricity, chemicals, and light.
-
- 스마트그리드특론 SPECIAL TOPICS ON SMART GRID
-
미래형 전력망인 스마트 그리드에 대한 개요, 역사, 구성분야에 대하여 학습하고, 스마트 그리드 구축에 필요한 기술과 국내외 동향에 대하여 소개한다.
It will learn about the outline, history, and composition of smart grids, which are future power grids, and introduce the technologies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necessary for smart grid construction
-
- 스마트바이오섬유소재 SMART BIO-BASED FIBERS
- 다양한 외부자극에 반응할 수 있는 천연물질 기반 스마트 섬유소재의 제조, 구조 및 특성발현 과정에 대해 학습을 한다. In the course, the processes, characteristics, structures and applications of various bio-based materials focusing on smart bio-polymers are studied.
-
- 신뢰성공학 RELIABILITY ENGINEERING
- 소재, 소자의 고장현상, 원인 메커니즘에 대한 학습과 이를 바탕으로 수명예측 및 가속실험설계에 대하여 학습한다. Based on the studies of the failures in various materials and systems, FMA and ALT are designed.
-
- 신소재세미나 NEW MATERIALS SEMINAR
- 선행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을 통해 연구방법, 데이터 처리 및 해석, 연구수행에 대한 최적화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Purpose to design the process, arrangement and analysis of the data and the optimization of the conduct of study through systematic consideration about a prior study.
-
- 신소재토픽스 NEW MATERIALS TOPICS
- 선행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 연구방법 및 결과 처리를 중심으로 깊이 있는 논문작성을 익힌다. Learns dissertation drawing up by systematic consideration of preceding research, research method and resultant control.
-
- 에너지다소비산업공정분석 PROCESS ANALYSIS OF HIGH ENERGY CONSUMPTION INDUSTRY
- 온실가스배출량이 높은 품목인 시멘트, 철강, 알루미늄, 비료등의 산업에 대한 특징과 제조공정을 학습하고, 공정에너지와 온실가스와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한다. Learn the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of industries such as cement, steel, aluminum, and fertilizers, which are items with high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ss energy and greenhouse gas.
-
- 에너지변환과저장기술의이해 UNDERSTANDING OF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TECHNOLOGY
-
전기화학에 대한 기초이론에 대하여 학습하고, 응용분야인 연료전지, 이차전지, 태양광발전에 대하여 종류와 특징, 시스템 구성요소를 소개한다.
It learns basic theories about electrochemicals and introduces types, characteristics, and system components for fuel cells, secondary batteries, and solar power generation, which are applications.
-
- 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 연구계획, 실시, 논문 및 보고서 작성, 연구윤리 등에 연구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방법들을 학습한다. The course provides the methods and skill for researches from planning to reporting. The course also contains the research ethics and fundamental legal issues.
-
- 연료전지특론 SPECIAL TOPICS ON FUEL CELL
- 대체에너지로서의 세라믹 재료를 이용한 고에너지의 고체전지 및 연료전지에 대하여 소개하고 구성, 에너지 전환 기구 및 특성에 대하여 익힌다. Introduce about the the high energy density solid cell and fuel cell using the ceramic material as alternative energy, and learns about its composes, the energy conversion organization and characteristic.
-
- 유기나노박막분석 CHARACTERIZATION OF ORGANIC NANO THIN-FILM
- 기존의 벌크 유기소재 분석 기술과 함께 나노재료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X-선 기반 분석, 광학기반 분석, 전자 및 투과현미경 기반 분석 기술을 학습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the bulk characterization tools as well as various characterization tools using X-rays, spectroscopes and microscopes.
-
- 유기나노소재연구 TOPICS IN ORGANIC NANO MATERIALS
- 본 과목에서는 나노구조고분자, 나노복합체, 유무기 하이브리드 등의 유기나노소재 합성, 특성 및 응용을 토의한다. This subject focuses on discussion of synthesis, characteristics,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d polymers, nanocomposites, and organic-inorganic hybrids.
-
- 유기나노재료표면및계면 SURFACE AND INTERFACE OF ORGANIC NANO MATERIALS
- 본 과목에서는 유기나노재료의 표면 및 계면현상에 대해서 강의한다. 먼저 표면에너지와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 강의한다. 나아가 나노재료의 표면특성을 바꿀 수 있는 다양한 유기단분자막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또한 유기전자소자에서 표면 및 계면특성이 소자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강의한다. This course covers surface and interfacial phenomenon of the organic nano materials. First, surface energy and various methods to characterize the surface energy will be introduced. In addition, organic monolayer to change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nano materials will be introduced. Furthermore, the effect of surface and interfacial characteristics on the device performances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will also be introduced.
-
- 유기반도체박막성장 GROWTH CHARACTERISTICS OF ORGANIC SEMICONDUCTOR THIN-FILM
- 유기반도체 박막의 성장 거동 및 박막성장 매커니즘을 학습하고, 유기반도체 박막 성장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분석기술을 학습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 of organic semiconducting thin-film. In addition, various tools to characterize growth characteristics of organic semiconductor thin-film will also be introduced.
-
- 유기분자구조분석 STRUCTURE ANALYSIS OF ORGANIC MATERIALS
- 본 과목은 원소분석, 적외선분광분석, 핵자기공명분석, 질량분석을 통한 유기분자의 구조 분석을 다룬다 This course deals with structural analysis of organic materials using elemental analysis, IR spectroscopy, NMR spectroscopy, and mass spectrometry.
-
- 유기염료합성 ORGANIC DYE SYNTHESIS
- 다양한 유기염료와 그 중간체의 합성에 관한 최근 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화학구조와 물성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원하는 기능성을 구현하기 위한 체계적인 분자 설계와 최적 합성방법 도출에 관하여 다룬다. The basic methods in the synthesis of organic dyes and pigments are addressed and discussed, including the various types of synthesis and their applications toward both common and new promising products.
-
- 유기전자재료및소자 ORGANIC ELECTRONIC MATERIALS AND DEVICES
- 유기전자재료의 기초가 되는 단분자, 고분자 유기반도체의 합성 및 물리적 현상의 기초에 대해서 강의한다. 또한 유기반도체를 활용한 유기전자소자인 트랜지스터, 태양전지, 발광소자의 동작원리에 대해도 학습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the fundamentals of organic semiconductors including synthesis and physical properties. In addition, organic electronic devices (i.e., transistors, solar cells, light emitting diodes) will also be introduced.
-
- 유기화학특론 ADVANCED ORGANIC CHEMISTRY
- 본 과목은 유기화합물들의 분자궤도함수에 기초한 결합과 반응 그리고 전이금속과 유기 리간드 복합체의 결합과 구조를 다룬다. This subject covers molecular orbital treatment of bonding and reactivity of organic compounds, and concept of bonding and structure of transition metal complexes.
-
- 인쇄광전소재특론 ADVANCED PRINTED OPTOELECTRONIC MATERIALS
- 본 과목은 인쇄공정에 적용가능한 광전소재 및 소재의 잉크화에 대한 화학/물리학적 기초와 최신 인쇄 광전소자 및 관련 산업에서의 응용에 대해 강의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the chemical/physical fundamentals andthe ink formulation of optoelectric materials applicable to the printing process, and their applications in the latest printed optoelectronic devices.
-
- 인턴쉽 INTERNSHIP
- ICT융합 기반 맞춤주문형 제품생산, 빅데이터 기반 온디맨드 제조시스템 개발, 3D 가상샘플 제작 시스템 등에 대한 이론 수업과 기업 현장실습을 수행한다. This course covers the theoretical study and field training for ICT-based manufacturing system for mass customization and big data based on-demand manufacturing system performed
-
- 자원순환경제특론1 SPECIAL TOPICS ON RESOURCE CIRCULAR ECONOMY 1
- 자원순환과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순환경제라는 거대한 경제 패러다임에 대해 이해한다. Provide a thorough introduction to the concepts of circular economy which is restorative or regenerative system by superior design of materials, products, systems and business models through life cycle thinking.
-
- 자원순환경제특론2 SPECIAL TOPICS ON RESOURCE CIRCULAR ECONOMY 2
- 순환경제 체계 및 정책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핵심 개념인 전과정적 사고와 주요기법에 대해 연구한다. Discuss about life cycle thinking, core of circular economy, to reduce environmental burden as well as improve its socio-economic performance through life cycle of product.
-
- 재료열역학특론 ADVANCED THEORY OF THERMO DYNAMIC
- 불균일(heterogeneous) 시스템에 대한 재료열역학을 주제로 고체상간의 반응, 고체상과 기체상간의 반응 및 고용체에 대한 열역학을 학습한다. Thermodynamic understanding of heterogeneous system, equilium condition, reaction in the binary system of solids, reaction in the solid and gases, solid solution thermodynamics, will be discussed
-
- 전자재료특론 SPECIAL TOPICS IN ELECTRONIC MATERIALS
- 전자재료 이론, 성질 및 이용의 개요 및 반도체 재료를 공부한다. This coruse is to provide deep insight for elementary quantum physics and modern theory of solids. And it provides fundamental of an electronic material through introducing of various semiconductor materials for electronic industry.
-
- 정밀화학공정의이해 FINE CHEMICAL PROCESS
- 기능성 정밀화학소재의 설계 및 공정이론을 익히고 친환경제품에 반영할 수 능력을 학습한다 Learn the design and process theory of functional fine chemical materials and learn the ability to reflect them in eco-friendly products.
-
- 초분자화학 SUPRAMOLECULAR CHEMISTRY
- 수소결합, 정전기(靜電氣)상호작용, 전하이동 상호작용 등의 분자 사이에서 작용하는 약한 힘으로 생성되는 2개 이상의 분자간 집합체가 초분자이다. 초분자에서는 분자 단독의 경우에서는 볼 수 없는 다양한 기능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단백질 복합체인 효소는 생체반응에 있어서 고효율 촉매기능을 수행하고 있따. 초분자 화학은 21세기형 기술의 첨단을 가는 나노기술의 기초이기도 하며 본 교과목에서는 초분자화학의 기초이론, 응용기술, 그리고 미래비전을 다룬다. Supramolecule is a molecular aggregate from the work of two or more molecules via H-bonding , electrostatic interactions, and charge-transfer interaction between molecules. Supramolecular chemistry is the foundation of nanotechnology for next generation. Herein we discuss the basic theory , applications and future vision of the supramolecular chemistry.
-
- 친환경소재개발 ECO-MATERIALS DEVELOPMENT
- 유해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합성 및 가공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지 않는 친환경소재의 개발에 대해 연구한다. Issue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re gaining an increasing importance in everyday life, and nowhere is this more so than in the field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lmost every aspect of materials usage, from extraction and production, through product design and ultimately disposal issues, is now subject to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Furthermore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development of novel 'environmentally-friendly' materials are providing new chal
-
- 친환경에너지기술특론 ECO-FRIENDLY ENERGY TECHNOLOGY
-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청정에너지에 대한 이론과 응용기술을 학습한다 Learn theories and application techniques for clean energy that can replace fossil fuels.
-
- 친환경제품설계 ECO-DESIGN
- 환경친화적인 제품의 설계 및 개발의 개념과 그 절차에 대해 고찰한다. Provide a thorough introduction to the concepts of Eco-design which is the systematic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into product and process design. Eco-design can be a powerful tool to make your company more competitive and more innovative, as well as mor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
- 친환경제품설계2 ECO-DESIGN2
- 실습을 통하여 환경친환경적인 제품의 설계에 대해서 심화 학습한다. Provide a thorough practical exercise and in- depth study about Eco-design which is the systematic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into product and process design.
-
- 컬러런트응용공학특론 ADVANCED COLORANT APPLICATION TECHNOLOGY
- 기능성 염료 및 안료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공학적 응용 기술에 관하여 학습한다. 세부 주제로는 바이오센싱, 바이오이미징, 에너지하베스팅, 디스플레이, 고분자컬러레이션 등을 다룬다. This course focus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advanced high-tech colorants and the principles of their applications technology. Topics include biosensing, bioimaging, energy harvesting, display and polymer coloration technology.
-
- 컬러레이션공학연구 TOPICS IN COLORATION TECHNOLOGY
- 염료 및 안료를 이용한 다양한 컬러레이션공학 기술에 관하여 학습하며 섬유염색, 고분자컬러레이션, 바이오이미징, 디스플레이 등에의 응용 기술이 포함된다. This course focuses on introduction of various dyes and pigments and their coloration principles. The coloration technology covers the application to textile engineering, electronic engineering, display engineering and other related industries.
-
- 탄소중립과저탄소기술 CARBON NEUTRAL AND LOW CARBON TECHNOLOGY
- 탄소중립은 전세계의 새로운 규범이 되었다. 2050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저탄소기술에 대한 혁신적인 연구와 개발과 필수적이다. 저탄소기술의 설계와 개발에 대해 고찰한다 Carbon neutral is becoming a new norm in the world. To accomplish carbon neutral it is required to make an intensive efforts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innvovative low-carbon technologies. In this class, design and development of low carbon technologies are discussed
-
- 품질관리특론 ADVANCED QUALITY CONTRO
- 다구치 방법을 이용한 실험계획 및 최적조건 탐색 방법 등을 학습한다 In the course, Taguchi's experimental planning and optimum condition searching method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are studied.
-
- 프린팅공정특론 ADVANCED PRINTING PROCESS
- 다양한 나노재료 및 유기/무기반도체 재료를 프린팅하는 공정에 대해서 학습한다. 특히, 잉크젯공정, 롤투롤공정 등 산업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프린팅공정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printing processes to deposit nano-materials and organic/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Also, inkjet printing process or roll-to-roll process, which is important in industry will also be introduced.
-
- 플렉시블소자공학 FLEXIBLE ELECTRONICS
- 본 과목에서는 플렉시블 소자에 사용되는 다양한 재료와 이를 이용한 소자의 제조방법 및 구동원리에 대해서 강의한다. 특히, 유기반도체 및 그래핀의 물성 및 이를 이용한 다양한 소자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This course covers the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flexible electronics. In addition, fabrication methods and operating principles for the flexible devices will be introduced. Especially, physical properties of organic semiconductors and graphene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in devices will also be introduced.
-
- 화공양론특론 STOICHIMETRY FOR CHEMICAL ENGINEERING
- 화학공학도에게 필수적인 기초과목으로서 각종 단위 상호 환산능력을 배양시키며, 주어진 공정을 물질 및 에너지 수지를 통하여 분석하여 여타의 공정에서도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시킨다. Basic principles and calculations in chemical engineering, including material and energy balances.
-
- 환경전과정평가실습1 ENVIRONMENTAL LIFE CYCLE ASSESSMENT PARCTICE 1
- ISO 표준에 근간한 환경전과정평가 절차 및 기본구조를 이해하고, 환경전과정평가 각 절차별 주요내용을 실습한다. Study and practice for framework of environmental life cycle assessment based on ISO standards
-
- 환경전과정평가실습2 ENVIRONMENTAL LIFE CYCLE ASSESSMENT PARCTICE 2
- 환경전과정평가 주요 적용사례를 학습하고, 산업군별 환경전과정평가 case study를 실습한다. Study for LCA application example and practice LCA methodology in various industrial sectors
-
- 디지털패션공학 DIGITAL FASHION TECHNOLOGY
- 인공지능, 가상현실, 3D프린팅, 블록체인 등과 같이 의류 패션 분야에서 활용되는 디지털 패션 공학 기술에 대해 이해 및 활용사례를 다룬다. This course covers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cases of digital fashion engineering technologies used in the apparel fashion industr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virtual reality, 3D printing, blockchain, etc.
-
- 디지털전환현장실습 FIELD PRACTICUM IN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IES
- 섬유패션산업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제조공정혁신을 위한 디지털 전환 기술 활용 사례를 기업과 연구소에서의 현장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This course provided the applic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ies for manufacturing process innovation in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through hands-on training at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
- 섬유패션산업과디지털전환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 섬유패션산업의 제조공정혁신을 위한 공정별 디지털 전환 기술과 응용사례에 대해 소개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ies and application cases for each manufacturing process to innovate the manufacturing processes in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
- 디지털전환과제조공정혁신 DIGITAL TRANSFORMATION AND MANUFACTURING INNOVATION
- 인공지능,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기술 등을 기반으로 산업생태계 및 제조공정을 혁시하는 디지털 전환 기술에 대해 이해한다. This course covers the understanding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ies that revolutionize industrial ecosystem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loud, and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ies.